본문 바로가기
경제이야기

경제용어알기 대체재와 보완재

by 알려주는 부엉이 2023. 4. 23.
반응형

이번시간에는 대체재와 보완재에대해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대체재란?

서로 다른 재화에서 같은 효용을 얻을 수 있는 관계를 바로 대체재라고 합니다.

그예로 꿩 대신 닭, 쌀 대신 빵, 소고기 대신 돼지고기, 고기 대신 생선, 커피 대신 홍차 이렇게 대체할수 있는것들을 말합니다. 서로 다르지만 같은 효용을 얻을수 있는것은 바로 대체재. 이렇게 기억해주세요.

 

보완재란?

2가지 이상의 재화를 사용해 하나의 효용을 얻을 수 있는 재화입니다.

예를 들면 자동차와 휘발유, 빵과 버터, 커피와 설탕, 소주와 맥주 이런것들이 보완재입니다.

여기서 잠깐!

소주와 맥주는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시장의 소비계층이 다르고 , 계절적으로 소비량이 크게 달라지므로 여름엔 맥주, 겨울엔 소주의 소비가 늘어납니다. 그래서 보완재로 결론이 났습니다. 함께 사용하면서 하나의 요용을 낸다는것은 바로 보완재 라고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보완재라고도 하고 협동재라고도 불립니다. 참고로 알아둡시다.

특수한 경우 = 완전보완재

재화의 소비와 다른 재화의 소비가 항상 일정 비율로만 이루어지는 경우를 완전 보완재라고 합니다. 

예로 연필과 지우개, 총과 총알, 버터와 쨈, 치약과 칫솔,삼겹살과 상추, 신발의 오른쪽과 왼쪽이 있습니다.

 

버터와 잼은 대체재 관계이기도합니다. 

 

 

소득효과

어떤 상품이 가격이 하락하면 상품 구매력이 늘어 더많은 소비를 하게 된다는 효과입니다. 경제 학의 기본전제는 소득이 늘면 수요가 증가합니다. 가격이 내리면 수요가 증가합니다. 그반대도 성립합니다.

 

그밖에 용어도 알아봅니다.

 

정상재 = 만약 직장을 잃는다면 당장 옷이나 음식 등의 수요를 줄이게 될겁니다. 지금 저의 상태같네요. 이처럼 소득이 감소할 때 수요가 따라서 감소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성립되는데 경제학의 기본전제를 따르고 있기 때문에, 정상적인 재화라고 보는것입니다.

 

열등재 = 정상재와 반대로 소득이 증가할 때 수요가 감소하는 재화를 말합니다. 대중교통의 경우 소득이 많아지면 자가용이나 택시를 대신 이용하기 때문에 수요가 감소하게 되고 경제학의 기본전제를 거스르기 때문에 열등이라고 봅니다. 

햄버거나 대중교통을 예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체효과 = 상대가격의 변화가 각 상품의 수요 변화에 미치는 효과 입니다. 상품이 두개있을경우 하나의 상품 가격이 하락하면 다른 하나의 상품을 더많이 소비하게 되는 효과입니다.

 

독립재 = 수요에 있어서 다른 재화의 가격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는 재화입니다.

예로 쌀과 신발이 있습니다.

 

기펜재 = 어떤 재화의 가격이 하락할 때 그 재화의 구입량이 감소하는 특수한 유형의 하급재를 말합니다. 예로는 감자와 마가린등이 있습니다. 반대로 가격이 오를수록 수요가 증가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너무 특수해서 경제를 이해하기에 몰라도 되는 개념들이 되겠습니다.

 

기회비용= 둘중 무엇을 선택해야 할지 고민일때가 있습니다. 이런경우 기회비용을 고민하고 있는것인데요.

포기하지 않았더라면 얻어지는 이익들중 가장 큰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천만원을 어떻게 불릴까 고민을 하다가

국채를 사면 이자가 십만원, 친구에게 빌려주면 이자가 십일만원, 정기예금에 넣어두면 이자가 십이만원일 경우 

천만원을 정기예금으로 넣었습니다. 이때 기회비용은 이자가 십일만원에 친구에게 빌려주는 것이 됩니다. 바로 포기한 대안중 가장 많은 가치를 가진것이기 때문입니다. 바로 기회비용은 어떤 재화의 용도중 어느 하나를 포기할 경우, 포기하지 않았다면 얻을수 있는 이익중 가장 많은 가치를 지닌것입니다.

 

대표적으로 카지노 같은 도박판이 매물비용의 오류를 범하는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개인뿐아니라 국가적으로도 이런실수를 하게되는데요 그예로 콩코드여객기를 볼수 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미국이 투자해 만든 콩코드는 예상과 달리 소음과 대기오염이 심한데다 탑승인원이 백명으로 경제성이 매우 떨어졌습니다. 미국은 문제점을 알고 나서 개발을 포기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기존에 퍼부는 막대한 비용 생각에 개발을 계속하게 됩니다. 그러다 결국 예견된 문제점들로 인해 막대한 손실을 보게 됩니다.

미국은 매물비용을 감수하고 손절매하는 합리적인 결정을 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본전 생각에 손해를 본셈입니다.

 

여기서 손절매는 주가 하락을 예상해 보유 주식을 매입가 이하로 손해보고 파는것을 말합니다.

 

지난시간에 이어 경제용어에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지난시간 기본적인 경제용어를 놓치셧다면 지난 포스팅도 한번 구경해보세요. 

경제용어알기 경제성장, 물가안정, 골디락스

 

경제용어알기 경제성장, 물가안정, 골디락스

경제성장 경제성장은 경제의 생산 능력 즉 국민의 경제 능력이 증가 하는 일. 국민 소득, 국민 총생산 GDP 기본적 지표가 높아지는것을 말합니다. 한국은 1960년대부터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하여

reviewowl.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