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

경제용어알기 경제성장, 물가안정, 골디락스 경제성장 경제성장은 경제의 생산 능력 즉 국민의 경제 능력이 증가 하는 일. 국민 소득, 국민 총생산 GDP 기본적 지표가 높아지는것을 말합니다. 한국은 1960년대부터 경제개발계획을 추진하여 한강의 기적이란 말을 일컬어지는 고도의 경제성장을 이룩하기 시작했습니다. 경제 개발계획 추진세력의 출현으로 정치적 리더쉽을 확대하고 사회전체가 가치관이 개선되면서 국민의 강인한 생활력이 보탬이 되었습니다. 거기다 저렴한 노동력과 기술혁신 그리고 새로운 자원의 발견 및 교육발전으로 전문인력이 향상되면서 경제성장에 기여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1인당 GDP 국민총생산 이라는 단어 정말 많이 나오는 단어입니다. 꼭 알고 넘어갑시다. 국민경제가 일정기간에 예를들어 일년동안 생산한 총 재화나 서비스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총액.. 2023. 4. 23.
빅맥지수, 스타벅스 지수, 구매력 평가설 경제용어 알기. 경제용어 시간입니다. 자주등장하는 단어로 빅맥지수, 스타벅스 지수, 구매력 평가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빅맥지수 빅맥지수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빅맥지수는 세계 페스트푸드점에서 각각 팔고 있는 맥도날드의 빅맥 가격을 비교하는 방법 입니다. 한국 빅맥 가격이 미국 빅맥 가격보다 저렴하다고 한다면, 한국의 원화 가치가 미국 달러에 비해 낮게 평가 되고 있다 이렇게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빅맥지수는 구매력평가 이론을 바탕으로 동일 상품이 다른 나라에서 판매될 때 가격 차이를 이용해서 국가의 통화 가치를 비교하는 방법입니다. 빅맥이 없는 나라의 경우는 비슷한 햄버거의 가격이나 다른 상품으로 가격을 계산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빅맥지수는 국가 간의 실질적인 가치의 차이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로 단순한 참고.. 2023. 4. 18.
주식 용어 PER, PBR, EV/EBITDA 개념 쉽게 정리해 드릴께요. 오늘은 주식 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꼭 알아야 하는 용어 몇 가지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주식용어들이 영어 약자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무슨 말인지 이해 안 되는 경우도 종종 있었을 건데요. 주식을 접해본 사람이라면 누구나 들어본 적 있는, 주식 공부 할 때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PBR, PER, EV/EBITDA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첫 번째. PBR(주가순자산비율)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어로, 주가순자산비율이란 뜻입니다. 기업의 청산가치와 시장가치를 비교하는 것인데, 주가를 1주당 자산가치로 나눠 구할 수 있습니다. PBR = 주가 ÷ 1주당 자산가치 PBR이 높다는 것은 재무상태에 비해 주가가 상대적으로 높다는 뜻이 되고, 낮다는 것은 재.. 2023. 4. 16.
금리와 환율의 관계! 쉽게 알려드릴께요. 며칠 전 금융통화위원회는 한국은행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3.50%로 유지하기로 하였습니다. 미국 중앙은행 기준금리는 5.00%로 저희와 1.50% 차이가 납니다. 미국과 금리 차이가 벌어질수록 돈은 금리가 높은 쪽으로 쏠릴 수밖에 없습니다. 외국인 투자금이 우리나라에서 다른 곳으로 빠져나가게 되고 이는 원화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이렇듯 금리의 변동이 환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환율과 금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금리란? 금리란 자금이 거래되는 금융시장에서 자금 공급자가 자금 수요자에게 자금을 빌려준 데 대한 대가로 지급하는 이자금액 또는 이자율을 말합니다. 오늘날에는 이자율을 뜻하는 의미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갑이라는 사람이 사업을 진행하고자 자금이 .. 2023. 4. 14.
반응형